- 버스·택시·지하철로 본 서울의 교통사, 시민의 기억으로 다시 보다
- 교통이 그려낸 도시 성장의 궤적… 평면에서 입체로 변모한 서울의 시간 재조명 [서울 세계타임즈=이장성 기자] 서울기록원이 10월 말부터 3년간, 전쟁의 폐허 위에서 다시 일어선 서울의 교통 변천사를 기록으로 재구성한 특별기획전 「어느 도시의 탑승록」을 개막한다고 밝혔다.
이번 전시는 195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서울이 거대도시로 성장해 온 과정을, 시민의 발이 되어온 교통의 진화와 함께 살펴보는 기록전이다.
버스·택시·고가도로로 대표되는 지상의 확장부터, 지하철 개통으로 열린 입체도시의 시대까지—‘도시의 성장은 곧 이동의 역사’였던 서울의 시간을 기록으로 되짚는다.
이번 전시는 서울기록원이 소장한 공공기록물 120여 건과 시민 참여를 통해 수집한 기록물 20여 건 등을 함께 선보인다.
특히 1970년대 서울 지하철 건설에 참여했던 설계자 김영수 씨의 기증 자료를 최초로 공개하여, 당시 현장의 열기와 도전의 순간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이렇듯 공공의 기록과 시민의 기억이 교차하며, 서울의 교통이 평면도시에서 입체도시로 변모해 온 여정을 입체적으로 조명한다.
전시는 총 3부로 구성된다.
○ 1부 「평면에 그린 도시」에서는 한국전쟁 이후 도시 재건 과정 속에서의 지상 교통 변화를 다룬다. 1960년대 교통난 해소를 위한 버스 정책과 시영버스 도입, 택시 합승제와 모범택시 운영 등 대중교통 운영 방식의 진화를 살펴본다. 또한 청계고가도로로 대표되는 ‘지상에서 지상으로의 확장’은 격변기의 도시 변화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 2부 「입체도시의 시작」은 서울이 지하철 건설을 통해 지하도시로 나아가는 과정을 그린다. 1970년 ‘지하철건설본부’ 설치부터 1974년 1호선 개통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난관을 극복하며 문화유산을 지켜낸 기술적·행정적 도전의 기록을 다룬다. “우리 힘으로 만든다”는 신념 아래 완성된 1호선과 이어진 2·3·4호선의 개통은, 남북축과 순환 개념을 도입해 서울의 도시 구조를 입체적으로 재편한 역사적 전환점으로 제시된다.
○ 3부 「겹겹이 쌓인 도시」에서는 시대별로 축적된 교통의 레이어(layer)를 시각적으로 표현한다. 교통 정책 변화의 이면에 담긴 시민들의 다양한 목소리와 참여의 기록을 통해, 도시 성장이 행정의 계획만이 아니라 시민의 기억과 참여로 완성되어 왔음을 전한다.
이번 전시는 시민 참여형 구성도 마련됐다. 관람객이 자신의 교통 관련 기억을 남길 수 있는 ‘어느 시민의 탑승록’ 코너와 일상의 이동 경로를 기록하는 ‘오늘의 탑승록’ 코너를 통해, 기록을 ‘보는 전시’에서 ‘함께 써 내려가는 전시’로 확장했다.
이번 전시는 교통이 단순한 이동수단을 넘어 도시 재건과 성장의 동력이었음을 시민과 함께 되돌아보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세 개의 축으로 구성된 스토리라인을 따라가다 보면, 길을 넓히고 층을 쌓아 서로를 연결해 온 서울의 시간이 한눈에 펼쳐진다. 관람객은 과거의 기록 속에서 오늘의 서울을 발견하고, 각자의 기억을 더해 ‘겹겹이 쌓인 도시’에 새로운 한 줄을 남길 수 있을 것이다.
고경희 서울기록원장은 “이번 전시는 서울의 교통사를 단순한 인프라의 변천이 아닌, 그 과정에 있었던 이야기와 시민의 기억에 주목했다”며 “서울기록원이 앞으로도 시민과 함께 서울의 시간을 기록하고 그 기억을 미래로 이어가는 공공의 기록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밝혔다.









<전시 포스터>
[저작권자ⓒ 세종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