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평균 주택 착공물량, 박원순 8만7천 VS 오세훈 3만9천
- 연평균 주택 준공물량, 박원순 8만8백 VS 오세훈 5만1천

[서울 세계타임즈=이장성 기자] 역대 서울시장의 주택공급 비교수치가 화제다. 주택 인허가·착공·준공 실적 모두 고 박원순 전 시장이 오세훈 시장을 압도했기 때문이다.
서울시의회 임규호 의원(더불어민주당, 중랑2)이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박원순 전 시장의 재임시절이었던 2011년부터 2020년까지 주택인허가 물량은 총 80만3천호에 달해 오세훈 시장 재임시절인 2006년부터 2010년, 2021년부터 2024년까지의 인허가량 총 47만호에 한참 미치지 못한 것으로 밝혀졌다. 연평균으로 환산해보면, 박 전 시장이 8만9천호인 것에 반해 오 시장은 5만2천호 수준에 머물렀다.
주택착공 총량의 경우, 오세훈 시장은 박원순 전 시장의 반절도 미치지 못했다. 박원순 전 시장 재임기간에 착공된 주택 총계가 78만9천호이나, 오세훈 시장은 35만7천호 수준이었다. 연평균으로 따지면, 박원순 전 시장은 8만7천호, 오세훈 시장은 4만호도 넘지 못한 것이다.
준공된 주택 역시 박원순 전 시장이 72만7천호였으나, 오세훈 시장은 46만2천호에 머물렀다. 박원순 전 시장은 연평균 8만호 수준이었던 것에 반해 오세훈 시장은 5만1천호로 밝혀졌다.
임규호 의원은 “말만 번지르르한 오세훈식 주택사업은 원주민 조합원의 기대감을 부풀리는데만 초점이 있을 뿐, 실제 사업으로까지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면서 가장 큰 문제로는 “사업성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임 의원은 “조합원들의 분담금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오세훈식 주택개발사업은 모두 무용지물, 무쓸모가 될 것”이라고 역설했다. 특히, “사업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강북권 재개발을 북돋기 위해 지역별 사업보정계수를 차등적용하고, 조합마다 천차만별인 평당건설공사비용을 합리화하는 기준을 모색해야 한다. 또한, 도시계획위원회와 도시건축공동위원회에서 소비되고 있는 무의미한 시간허비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 반드시 마련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세종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