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효도버스·문화버스·체육관 셔틀버스 등 총 12개 노선, 12대 차량으로 하루 76회 운행
- 2018년부터 선도적 도입… 어르신 복지부터 문화·체육시설 접근성까지 맞춤형 구성
- 효도버스·문화버스에 정밀 위치추적장치(RTK) 설치해 실시간 위치, 도착 예정시간 제공
- 전성수 구청장, “더 많은 구민 이용토록 노선 정비하고 서비스 개선해 나갈 것” [서초구 세계타임즈=이장성 기자] 서울 서초구(구청장 전성수)가 어르신의 복지 증진을 위한 ‘효도버스’, 구민의 문화 향유 확대를 위한 ‘문화버스’ 등을 포함해 총 12개 노선의 무료 공공버스를 운영하며 서울 자치구 중 가장 광범위하고 내실 있는 ‘교통 복지’를 실현하고 있다고 밝혔다.
구는 현재 25인승 버스 총 12대를 투입해 하루 총 76회 무료 공공버스 운행으로 지역 내 복지관, 도서관, 체육관 등 주요 공공시설과 주거지를 촘촘하게 연결하고 있다. 서초구의 무료 공공버스 시스템은 단순히 '무료'에 그치지 않고 어르신·문화·체육 등 구민의 생애 주기와 수요에 맞춘 맞춤형 노선으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서초구 무료 공공버스의 핵심은 어르신을 위한 서비스다. 2018년 첫선을 보이기 시작한 효도버스는 올해 9월까지 누적 이용자수가 57만 명을 넘어 서초구 어르신들에게 없어서는 안 될 필수적인 교통수단이 됐다. 이름 그대로 서초구 60세 이상 어르신들을 안전하게 모셔다드리는 ‘효도’를 하고 있는 이 버스는 5개 노선으로 지역 내 노인복지관 3개소와 느티나무쉼터 5개소를 경유하고 있다.
역시 2018년부터 시작해 현재 5개 노선을 운영 중인 문화버스는 문화시설 이용자를 대상으로 국립중앙도서관, 심산기념문화센터 등 주요 문화시설과 주거지를 연결한다. 탑승 시 문화시설 수강증, 회원증 등을 제시하거나 지역 문화행사 관련 SNS, 문자를 보여주면 누구든지 탈 수 있다. 올해 9월까지 총 누적 이용자 수는 약 19만 명으로 효도버스와 함께 여가 활동을 위한 핵심 인프라로 확고히 자리매김했다. 지금도 전국에서 무료 공공버스를 도입하려는 지자체들이 서초구의 문화버스와 효도버스를 벤치마킹하기 위해 문의하고 있다.
구민 건강 증진을 위한 공공버스도 운영 중이다. 서초종합체육관 셔틀버스는 2022년부터 운행되어 체육관 이용자들의 접근성을 획기적으로 높이고 있다. 이 셔틀버스의 노선 구간은 도심보다 대중교통이 불편한 우면동, 내곡동을 위주로 구성돼 교통약자 이동권 보장에도 큰 도움이 되고 있다는 평가다. 또, 구는 미래 산업의 중심지인 양재 AI 특구 활성화를 위해 특구 종사자 등을 위한 양재 AI 특구 셔틀버스 도입도 준비하는 등 지속 가능한 교통 복지 시스템을 구축해 나가고 있다.
한편 구는 지난 8월 효도버스와 문화버스 이용 편의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해당 10개 노선 차량에 ‘정밀 위치추적장치(RTK, Real Time Kinematic)’를 설치했다. 이로써 버스 실시간 위치와 도착 예정시간을 더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게 돼 어르신 복지시설과 문화시설 이용자들 만족도가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버스 이용자들은 스마트폰 ‘서초 스마트시티’ 앱에 접속하거나 전용 웹페이지(https://seochobus.seocho.go.kr)를 통해 누구나 쉽게 서비스에 접속하여 실시간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서초종합체육관 셔틀버스와 내년 운행 예정인 양재 AI 특구 셔틀버스에도 같은 기술을 적용해 운영할 계획이다.
전성수 서초구청장은 "서초구 무료 공공버스는 구민 삶의 질을 높이는 데 필수적인 생활 밀착형 교통 복지의 모범 사례"라며, "앞으로도 더 많은 구민이 공공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노선을 정비하고 서비스 품질을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세종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