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조경태 의원이 농협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5년 5월 한 금융사기범이 피해자 명의로 알뜰폰을 개통한 뒤, 콕뱅크 앱으로 신규 계좌를 개설하고 예금담보대출을 실행해 총 5,200만원을 편취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 과정에서 농협 콕뱅크의 비대면 실명인증 시스템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 YTN의 실험 영상에 따르면, 신분증의 주소와 발급기관을 손으로 고쳐 적은 위조 신분증으로도 본인 인증이 완료되었으며, 심지어 실물이 아닌 모니터 화면 속 신분증 사진을 촬영해도 인증이 통과되는 충격적인 사실이 드러났다.
더욱이 하나은행(’22년 3월), 신한은행(’23년 2월) 등 타 시중은행들은 이미 2년여 전부터 안면인식 시스템을 도입해 보안을 강화했지만, 농협은 관련 사기 피해가 발생하고 언론 보도가 이어진 2025년 8월에야 ‘뒷북’으로 시스템을 도입한 것으로 밝혀졌다.
조경태 의원은 “손으로 쓴 가짜 신분증에 5천만원이 넘는 국민 자산이 뚫린 것은 기술적 문제가 아니라 명백한 보안 의지 부족”이라고 강하게 질타하며, “농어민과 서민들이 믿고 맡긴 금융기관이 최소한의 안전장치도 소홀히 한 것은 용납할 수 없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조 의원은 “이번 국정감사를 통해 농협의 땜질식 처방이 아닌 근본적인 보안 시스템 전면 재구축과 적극적인 기술 투자를 강력히 촉구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세종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포토] ‘인생열차’ 강연으로 2070 세대 아우른 신천지 영등포교회](https://thesegye.com/news/data2/2025/10/24/p1065597401802505_992_h2.jpg)











